HSM 개발공부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MariaDB 1

헛된 다중컬럼 인덱스와 진짜 다중컬럼 인덱스

개요 이전에 explain 기능을 써보다가 다중컬럼 인덱스를 걸어놓은 테이블에서 full scan을 하는 상황을 발견했다. 이후에 테이블을 수정해서 사용하고 있다. 수정한 것이라고는 다중컬럼 인덱스를 만들 때 순서를 수정한 것이다. where 절에 항상 넣는 location_num을 가장 먼저 넣어 unique index를 생성했다. 원래 테이블 unique index의 Seq_in_index의 1번이 date인데 반해 새로운 테이블 unique index의 Seq_in_index의 1번이 location_num인 것이 차이점이다. ALTER TABLE new_index_table ADD UNIQUE INDEX u_idx(location_num, date, time_diff); 이전의 테이블과 현재 수정..

Database 2022.05.26
1
더보기
프로필사진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7)
    • Computer Science (14)
      • Network (2)
      • Data Structure & Algorithm (7)
      • Computer Architecture (5)
    • Linux (4)
    • Shell Script (0)
    • Data Engineering (16)
      • Kafka (7)
      • Airflow (4)
      • Spark (5)
    • Database (3)

Tag

컴퓨터구조, 카프카, 분산처리, 자료구조, 스파크, airflow, 성능개선, 리눅스, 인덱스, kafka, Controller, spark, ETL, 복제, replica, Linux, 그래프, 스케쥴링, cluster, Python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9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